본문 바로가기

Edible47

가을, 주머니텃밭농사의 강림 가을이다. 스티로폼 박스를 뚫어 흙을 채우고 수도꼭지도 없는 옥상에 바켓스로 물을 퍼다날라 장장 12포기의 배추를 심고 그 중 한 마리를 제외하고 11마리를 실하게 키워냈던 것이 바로 작년!올해는 옥상의 스티로폼을 휴경기로 놔두고 ㅎㅎ새로 오픈한 홍대다리텃밭에서 '마포농부팀'과 함께 가을농사를 짓기로 했다. 팀원들이 돌아가면서 물 주니까 옥상텃밭에 거의 이주꼴에 한 번만 가서 좋고 배추와 무, 쪽파 뿐 아니라 홍대카페 '수카라' 김수향 샘과 함께 바질, 초코민트, 스테비아 등의 허브를 심어허브 페이스트도 함께 맹글어 먹기로 했다. 가을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시농제 날, "우리 고사 지내요" 코스프레 중 흥부를 혼쭐내준 놀부 주걱 포스의 숟가락으로 입맛 쪽쪽. 암암, 결혼식이든 시농제든 행사는 "뭘 먹었느.. 2012. 9. 11.
사막의 우물, 두리반 다시 오픈한 두리반에서 느긋하게 밥을 먹었다. 두리반에 '팔뚝질'관련 행사가 아니라 진짜 밥만 먹으러 간 것은 처음이었다.단관개봉이지만 '두 개의 문'이 용산 CGV에서 이번주 금요일 (7.6 오후 늦은 8시 문의 @onethehuman) 상영된다. "호시절이로고나~"하는 호랭이 물어갈 생각을 하다가 며칠전 뜬 관악구 재개발 기사와 떠나지 않고, 아니 떠나지 못하고 남은 거주민들을 이야기를 읽으니 '홍대의 용산' 두리반이 재오픈한 지금도여전히 여기저기서 '두 개의 문'은 현실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여하튼 두리반은 재오픈하였다. 칼국수는 여전히 맛있다. 유기농 야채 비빔밥은 차고 시원하다. 그리고 여전히 두리반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문구와 자보와 소식들이 깨알같이 마련되어 있다. 참기름 냄새가.. 2012. 7. 2.
리치몬드제과점, 리치한 브런치 홍대에서 어느 순간 삐끼들이 클럽 찌라시를 뿌릴 때부터, 아니 그 이전부터 홍대의 신촌화는 척척 인정사정없이, 카페베네의 속도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리치몬드과자점 자리에 들어온 앤제리너스가 그 정점을 찍으며 언니들 보러 이제 딴데가라고 홍대역 초입에서부터 밀어내고 있다. 주말 아침 브런치 처묵처묵과 수다 명상을 통해 온 존재의 충만감과 코스모스적 합치감을 맛보는 우리들은 '서양골동양과자점' 포스가 풍기는 리치몬드과자점 성산점을 찾았다.(마성의 게이, 어디갔어?-> 모 여사의 의견에 따르면, 그들은 홍석천의 '마이'시리즈 레스토랑에서 노동하는 것 같다고 한다.홍석천 가게에서 일하면 게이라는 근거없는 편견은 어디서 왔냐고 물어도 묵묵부답일 뿐.-_-;;;) 빵의 스타일과 찻잔의 금박장식은 물론 화장실 수도꼭.. 2012. 6. 7.
이봄, 직장에서 농사짓기 봄이 왔습니다. 겨우내 황량한 바람이 휘몰아치던 옥상텃밭에도 봄이 왔습니다. 자, 여성미래센터의 넓디넓은 옥상텃밭을 살펴봅니다. 텃밭은 큰데 깊이가 얇아 감자, 고구마, 땅콩 등은 심기가 어렵습니다. (이미 작년에 아픔을 맛보았다능;;) 그래서 잎채소 위주로 심다가, 앗! 여성미래센터 개관 때 선물로 들어왔다가 운명을 다해버린 식물들의 화분을 발견했지요. 화분이 상자텃밭보다 더 크더라구요. ㅎㅎ 깊이도, 넓이도 딱 마음에 드는 므훗한 사이즈~ 아니 그런데 이건 ㅤㅁㅝㅇ미? 흙을 파자 스티로폼 조각이 발견됩니다. 화분 깊이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스티로폼을 파냈습니다. 심지어 사과 쌀 때 쓰이는 스티로폼 포장지까지!! (응?? 레알 재활용???) 선물하시는 분들은 "보기보다 가볍네~" 들기 가벼워서 좋고,.. 2012. 4. 25.
텃밭의 진화 에고고고, 춥다. 겨울이다. 옥상에 있는 나의 애완 배추를 거두어들이며, 10마리의 배추를 기념하며 쓴다. 이름하여 '텃밭의 진화' (실은 여성환경연대 소식지에 이미 썼던 글임 -_-;;;) 나는 “거울과 성교를 증오한다”라고 말한 보르헤스에 동의한다. 거울과 성교는 번식을 낳는다. 바퀴벌레의 번식도 싫지만 그만큼이나 인간의 번식도 싫었다. 어느 날, 퇴비용 음식물 쓰레기 속에서 ‘번식’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그랬다. 작은 새싹이 음식물 쓰레기와 흙더미 속에서 얼굴을 내밀고 있었다. 그리고 더 많은 새싹이 ‘번식’하다가 번식의 결과물인 단호박이 주렁주렁 달리기 시작했다. 그 단호박을 보는 순간, 자연의 순환과 유전자의 형질과 신의 섭리와 우주의 진리를 알게 된 기분이었다. ‘나를 미치게 하는 정원이지만 괜.. 2011. 11. 29.
토종종자 앉은뱅이 밀로 만든 유기농수제파이 가난뱅이 클럽 일원이 일구어가는 생태 베이커리, 밀바람 호두파이집. 음식을 바꾸면 세상이 바뀐다 시원한 밀밭바람을 건강한 먹을거리와 함께 전합니다. 밀바람은 우리밀의 생명력을 담아 반죽하고 유정란, 유기농우유, 유기농설탕으로 수제파이를 만듭니다. 풀진의 친구 '뽕녀'가 만드는 수제파이는, 당췌 유기농, 채식, 우리밀, 건강한 먹거리와는 거리가 먼 맛난 거, 단거 danger, 고기, 몸에 안 좋은 거 위주로 먹지만 입맛만은 기막히게 발달한 양갱에게도 통했다. 조미료와 단 것에 온통 담금질 된 '레디 메이드' 입맛에도 통하는 건강한 먹거리라니! '따뜻한 아이스크림'처럼 어감이 안 맛지만 쇼트닝, 마가린, 가짜 버터, 백설탕 듬뿍을 쓰지 않은 파이가 이렇게도 맛있다니 황송할 따름이다. 베이커리 과정을 수료했.. 2011. 11. 25.
나만의 이태리, 이태원에서 만난 타이가든 이태원, 에 갈 때는 마음 속으로 나만의 이태리에 간다고 므훗해한다. 여기서 이태리는 여러 인종을 만날 수 있는 '인터내셔널 국가'를 총칭하는 상징어. ㅋㅋ '이태원 프리덤'을 들으면서 해밀턴 호텔 뒤 브런치 레스토랑 골목을 산책하는 것도 좋고 녹사평까지 내리 걸어가 구석구석 박혀있는 외쿡인들 많은 펍을 구경하는 것도 좋고 나이 어린 홍대 클럽보다는 나이도 다양하고 인종도 다양하고 성적 지향도 다양한 클럽들도 원츄, 게이바에 도란도란 앉아있는 여자들도 만나고 나이 많은 화려한 중년도 주책스럽지 않고 홍대처럼 '힙'해야 한다는 강박도 없는 한국적이지 않은 곳이다 보니 한국적이지 않은 상황들이 뭐 별다를 것 없이 받아들여지는 그 곳, 이태원 프리덤. 나만의 이태리, 이태원에서 타이 음식을 먹고 돌아오는 길,.. 2011. 9. 17.
쌀가스로 만든 채식 가츠동! 일본식 덮밥 요리을 좋아하지만 돈가스 덮밥 (가츠동)은 돼지고기가 들어가서 일단 패스, 새우까스 덮밥 (에비동)은 대개 망그로브 숲을 망치고 양식된 태국산 새우를 사용해서 패스, 장어 덮밥은... 구구절절한 이유 빼고도 (장어를 잔인하게 죽이더라구요;;;) 많이 비싸니까 패스. 흐흑 (이게 제일 슬픈 이유더냐!) 생협 장을 보다가 번쩍! 발견한 쌀까스로 일본식 덮밥 요리를 만들어보았다. 우선 덮밥 요리는 만들기가 간편하면서도 일본 스탈이 스맬스맬~ (간지 포스 ㅎㅎ) 냉장고의 썩기 직전 재료들을 아무거나 사용해도 좋고 텃밭을 가꾼다면 파나 깻잎 등 그때그때 가장 풍성하게 자란 '아무거나' 채소를 마지막에 쏭쏭 뿌려줘서 좋고! 고구마 쌀가스의 원재료를 보면 더욱 믿음이 간다. 국내산 무농약 쌀, 고구마, .. 2011. 7. 29.
[카페,문화공간]숨도-대흥역 부근 예전에 대흥역 부근에 살 적에 가기 제일 좋아했던 곳은 광흥창 역 앞에 있는 '마포 서강 도서관'이었다. 자전거를 타고 룰루루~가면 10분 안에 도착했는데 이런 도서관이 있다니, 한국도 참말로 살기 좋아졌어, 하는 생각이 절로 드는 아늑한 공간이었다. 합정역으로 이사온 지금, 오랜만에 대흥역 부근에 갔다가 발견한 문화공간 숨도. 예전에 있었더라면, 대흥역 근처에 살 때 '마포서강도서관' 다음으로 마이 페이보릿! favorite 장소가 될 뻔 했다. ㅎㅎ 1층은 카페와 책극장과 전시관으로 크게 세부분으로 구획돼 있다. www.soomdo.org에서 퍼온 카페 공간 소개에서 퍼왔다. - 책극장 Book Theater 엄선한 책만을 취급하는 편집된 우수도서를 전시하는 장소이자, 작은 공연 예술을 위한 연극무.. 2011.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