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이 코너의 이름이 다시마냐면, 육수는 물론 비건 국물을 내는데도 다시마는 꼭 들어가고 조미료 '다시다'도 다시마 성분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감칠맛이다. 다시마, 다시다 아 헷갈려 ㅎㅎ
이런 '완소' 다시마를 국물만 내고 버리는 게 아까워 국물에 불려진 다시마를 가위로 잘게 잘라보았다. 국 끓일 때 그 간단한 행동 하나를 더했더니 국물 퍼먹으면서 다시마까지 다 먹게 되었다. 나는 국에 들어있는 불린 다시마도 라면 '너구리'의 다시마처럼 호로록 국물과 함께 퍼먹고 있다. 이것이 바로 음식계의 제로웨이스트 아닌가?
결론 : 작은 행동 하나로 에너지와 자원을 아끼고 쓰레기를 줄이는 실생활 귤팁을 공유할 때 '다시마'라고 합니다. 혼자서 지어내고 스스로 만족함 ㅋㅋ
영하 7도를 찍은 오늘의 다시마는 겨울철 이중창에 결로를 자동으로 방지하고 좀 덜 춥게 환기하는 방법이다. 엄청 간단하게 엄청난 결로 방지 효과가 있다! 돈 들거나 뭘 설치하는 것도 아니다.
대한민국 이중창 집에 살고 있는 전 국민이 알면 좋겠고 과학 교과서에 그 원리와 함께 실리면 좋겠으나 사실 나는 과학적 근거는 모름. 그냥 바람이 통해서 온도 차이를 줄여서 결로가 줄어든다 정도로만...
몇 년간 이 방법으로 결로 없이 살고 있다! 우리 집은 약 40년 된 붉은 벽돌 빌라로 단열 건축이라 함은 마리 앙투와네트가 에어컨 찾는 소리처럼 들리던 시절에 지어진 집이다. 그 집에 단열 공사를 해서 이사 들어왔다. 고로 실내와 실외 온도 차이가 클 수밖에 없고, 결로란 이 낡은 집에 유전적 질환처럼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다.
항시 외창을 1~2센티 정도 열어둔다. 내창은 다 닫으므로 실내는 안 춥다.
(만약 베란다 쪽에 단창만 있다면 단창도 살짝만 열어둔다. 겨울철에는 벌레도 발걸음을 삼가는 살얼음판 계절이라 벌레 들어올 염려 안 해도 된다.)


이렇게만 해두면 영하 15도가 되는 날에도 거의 결로가 끼지 않았다. 그전에는 뒷 베란다 쪽 창문에서 결로가 생기면 창문 안쪽 유리창에서 비 내리는 수준으로 물이 떨어졌다.
위의 사진처럼 뒷 베란다 창문 옆에 달린 안 열리는 통창에서도 결로로 인해 비가 뚝뚝 떨어졌었다. 하지만 창문을 살짝 1센티 정도 항시 열어두었더니, 아이고 결로가 하나도 안 생깁니다요.



내 룸메이트 중 한 명은 내가 이 결로 방지의 탁월함에 너무 심취한 나머지 1센티 이하로 살짝 열어놔도 되는데, 점점 더 크게 열어젖히더니 이제 엄지손톱만큼 크게 연다고 꾸사리를 보낸다. 이렇게 과도하게 빠져들면 쓸데없는 에너지 손실이 생기니 주의하세요... 부작용입니다... (사진처럼 많이 열어놓지 않아도 된다는 소리임)
새롭게 알게 된 겨울철 환기 방법도 있는데(릴스에서 배웠어요 ㅋㅋ), 너무 추운 날 환기를 해야겠는데 도저히 창문을 열 마음이 안 든다면... 이 방법도 넘 간단한데 의뢰로 효과적이어서 다시마로 공유.
가장 바깥쪽 외창을 반만 열어둔다. 나머지 중간에 있는 외창 한 짝과 내창 한 짝은 닫아둔다. 맨 안쪽 내창을 반만 열어둔다.
이 경우 실내에서 보면 어쨌거나 창이 닫혀있는 형태라서 확 추워지지 않는다. 하지만 열린 외창을 통해 들어온 공기가 맨 안쪽의 열린 내창의 틈으로 조용히 스며든다.
왠지 환기가 안 될 것 같아서 실내에 향이 진하고 두꺼운 인센스 스틱을 켜놓고 이런 방식으로 거실을 환기해봤는데, 확실히 냄새가 진하게 나지 않았다. 환기되고 있다는 후각을 통한 증거,

맨 바깥쪽 외창 절반 열고 맨 안쪽 창 절반 열어둔 모습.

나는 알맹상점에서 인센스 스틱이나 콘센스 판매할 때도 향료니까 꼭 환기하면서 사용하세요, 라고 한다. 그러나 솔까말 겨울철에는 어쩌란 말이냐, 의 심정이었다.
근데 이 방법으로 환기하면 겨울철 인센스 스틱을 즐기면서도 향의 건강영향을 덜 걱정할 수 있겠다! (물론 향 제품 안 쓰는 게 제일 좋지만, 나는 기분 전환을 위해 실내서 향 피우는 거 사랑함 ㅠㅜ 밥만 먹고살 수 없고 취향도 중허잖아요. 파업도 '빵과 장미'인 것을...)
마지막 ' 다시마' 하나
과일 그물망을 이용해 (어차피 재활용 안 되는 일쓰) 창 구멍 틈새 바람을 막는다.
창문 열 때도 잘 밀려서 따로 빼 줄 필요도 없다. 그렇게 틈새 막이로 쓰다가 마지막에 창틀 청소용으로 먼지를 닦아준다.

나 이거 할 때면 연탄 시 생각나네... 함부로 차지 말라고, 언제 연탄만큼 따뜻한 사람인 적 있느냐고 묻는 시구. 틈새 황소바람도 막아주고 먼지 청소용으로 인생 마무리하는 과일 그물망처럼 쓸모가 있던 적이 있었던가 반성하게 된다.
다소 길었던 겨울철 환기 '다시마'는 끝!
환기는 무척이나 중요하니 겨울에도 환기를 챙기시오 ~~
'Eco Hou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일보] "외관보다 실속" 반백년 아파트서 행복 찾은 사람들 (0) | 2018.05.12 |
---|---|
[거실] 망원동 거실의 '물물교환' 스토리 (0) | 2018.03.18 |
우리 집 고르기 A to Z: ① 동네 탐방+부동산 궁합 (0) | 2016.03.01 |
[오마이뉴스] 난방비 아낀다고 '외출' 설정... '요금 폭탄' 맞는다 (1) | 2016.02.02 |
[살림이야기] 도시에서 '에코에코'하게 살기 (6) | 2016.01.14 |